이번에는 커스텀 서버와 이클립스 라는 툴을 설치해보도록 하겠습니다.
우선 1편에서 바닐라 서버에 대해 알아보았고 2편에서 플러그인과 서버의 작동 방식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.
2편의 초반에서 이야기 한 것과 같이 바닐라 서버는 Bukkit API 를 제공하지 않기에
플러그인을 사용할 수 없다고 이야기했습니다.
그러면 우리가 알고있는 Bukkit API 를 사용하는 CraftBukkit 을 통해 플러그인이 되는 커스텀 서버를 이용해볼까 합니다.
FAQ - Official BukkitWiki (fandom.com)
FAQ
The BukkitWiki is the official home of the Bukkit documentation and other help related information. As this is a wiki, anyone within the community is free to contribute information to it. By contributing to the wiki, you agree to release your writing/artic
bukkit.fandom.com
저번에 읽었던 Bukkit WIKI 를 보면
SpigotMC 라는 곳에서 BuildTools 를 활용해 CraftBukkit 을 제공한다고 합니다.
BuildTools Updates & Information | SpigotMC - High Performance Minecraft
해당 링크의 글은 2015년 1월 5일에 작성됐고, 더 이상 업데이트 되지 않는다고 합니다.
BuildTools | SpigotMC - High Performance Minecraft
이동하라는 링크를 통해 이동해보도록 합니다.
해당 BuildTools 는 글 작성 기준으로 최신 버전인 것 같고, Windows 용을 다운받도록 합니다.
해당 파일을 실행하면 위와 같이 설치할 버전과 설치할 파일 이름 설치할 폴더 위치를 결정할 수 있습니다.
1편에서 바닐라 서버는 바탕화면의 server 폴더에서 진행했다고 말씀드렸는데요.
이번 커스텀 서버는 server2 라는 폴더를 만들고 진행해보도록 하겠습니다.
약 7분의 시간이 걸리고 설치가 완료됐다는 팝업이 뜨게 됩니다.
이유는 모르겠으나, server2 라는 폴더를 경로로 두고 설치를 했는데 다운로드 폴더에 설치가 되는 것 같습니다.
설치된 파일들을 server2 폴더로 이동시킵니다.
그러면 위와 같이 server2 폴더를 구성할 수 있습니다.
헌데, 이상합니다. CraftBukkit 이라는 것을 설치하려 했는데, spigot-1.20.6 이라는 파일이 설치가 됐습니다.
하단의 FAQ 영역을 확인해보면 1.14 버전 이후에는 craftbukkit 을 포함시키지 않고 spigot 이라는 것을 실행하라 합니다.
그러면 craftbukkit 대신 설치된 spigot 이 무엇인가에 대해 알아볼 차례입니다.
구글에 craftbukkit 과 spigot 에 대해 검색해보면
What is Spigot? CraftBukkit? Bukkit? Vanilla? Forg | SpigotMC - High Performance Minecraft
Spigot 이랑 CraftBukkit 이 무엇인지 설명해둔 글을 찾을 수 있었습니다.
CraftBukkit 은 2편에서 이야기했던 것처럼 버킷의 플러그인들을 실행할 수 있게 바닐라 소프트웨어를 가볍게 수정한 것이라고 합니다.
Spigot 은 세계에서 가장 유명하게 사용되는 마인크래프트 서버 소프트웨어 라고 합니다.
Spigot 은 CraftBukkit 을 수정해 최적화와 성능 향상을 했다고 합니다.
조금 더 관련된 글을 찾아보면
CraftBukkit vs. Spigot vs. Paper: Understanding the Differences - Knowledgebase - BisectHosting
CraftBukkit vs. Spigot vs. Paper: Understanding the Differences - Knowledgebase - BisectHosting
Summary CraftBukkit, Spigot, and PaperMC are the backbone of Minecraft server APIs. Each serves a distinct purpose: CraftBukkit offers entry-level plugin support, Spigot enhances performance and compatibility, and PaperMC focuses on top-tier stability and
www.bisecthosting.com
Spigot 이 CraftBukkit 보다 성능도 좋고 안정성이 좋으며 커뮤니티도 잘 활성화되어 있다고 합니다.
Spigot 을 대신해 CraftBukkit 을 사용할 이유는 없어 보입니다.
BuildTools 를 통해 설치된 spigot-1.20.6.jar 파일은 Excutable Jar File 입니다.
이런 확장명은 꽤 익숙한데요. 1편에서 마인크래프트 공식 홈페이지에서 설치한 server 파일과 비슷해보입니다.
해당 파일도 실행시켜 보도록 하겠습니다.
동일하게 eula 파일이 설치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해당 eula 파일을 1편에서 한 것과 같이 true 로 변경하고 다시 실행해보도록 하겠습니다.
1편의 바닐라 서버를 실행했던 것과 같이 마인크래프트 서버 창이 동일하게 등장하게 됩니다.
마인크래프트를 실행하고 1편과 동일하게 서버가 열려있고 접속이 가능한지 확인해보도록 하겠습니다.
buildTools 로 설치된 Spigot 1.20.6 이 최신 버전이 아닌 것 같습니다.
BuildTools 를 다시 실행해서 확인해보니 latest 로 설치하면 1.20.6 버전이 설치가 되는 것 같고
실제 가장 최신 버전은 1.21.1 인 것으로 보입니다.
서버를 종료한 뒤 관련된 파일을 지우고 1.21.1 버전으로 설치해보도록 하겠습니다.
BuildTools GUI의 경우에는 완성도가 높아보이지는 않습니다.
아까보다 더 많은 파일들이 설치됐고
서버도 정상적으로 열린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설치된 내용들 중에 plugins 라는 폴더가 바닐라 서버와 다르게 만들어진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우리가 앞으로 진행하며 만들 플러그인들은 이 plugins 라는 폴더 안에 넣어서 서버에 적용시킬 수 있습니다.
이렇게 플러그인을 적할 수 있는 커스텀 서버를 제작했습니다.
다음은 Eclipse 라는 것을 설치해보도록 하겠습니다.
Eclipse 를 설치하기 앞서 해당 도구가 무슨 도구인지 알아보면
Eclipse (소프트웨어) - 위키백과,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(wikipedia.org)
Eclipse (소프트웨어) - 위키백과,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
위키백과,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. Eclipse(이클립스)는 자바를 비롯한 다양한 언어를 지원하는 프로그래밍 통합 개발 환경이자 프로그래밍 도구이다. 현재는 OSGi를 도입하여, 범용 응용 소프트웨
ko.wikipedia.org
Eclipse 는 자바를 비롯한 다양한 언어를 지원하는 프로그래밍 통합 개발 환경이자 프로그래밍 도구 라고 합니다.
이 자바 라는 것이 익숙합니다.
마인크래프트를 보면 Minecraft : JAVA EDITION 이라는 용어도 자주 쓰고, 서버를 구동하기 위해 JAVA 라는 것을 설치했습니다.
그러면 JAVA 란 것은 무엇일까요 ?
자바 (프로그래밍 언어) - 위키백과,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(wikipedia.org)
자바 (프로그래밍 언어) - 위키백과,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
위키백과,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. 자바Java패러다임프로그래밍 패러다임: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(클래스 기반 프로그래밍), 구조적 프로그래밍, 명령형 프로그래밍, 제네릭 프로그래밍, 반영, 병
ko.wikipedia.org
자바는 소프트웨어(프로그램)을 만들 때 사용하는 객체 지향적 프로그래밍 언어라고 합니다.
그러면 Minecraft : JAVA EDITION 은 자바 라는 프로그래밍 언어로 개발된 마인크래프트 라고 이해할 수 있습니다.
서버를 가동할 때 JAVA 라는 것을 설치했던 것은 JAVA 라는 프로그래밍 언어를 사용한다고 이해할 수 있습니다.
마인크래프트도 JAVA 라는 프로그래밍 언어로 만들어 졌고 마인크래프트 서버도 JAVA 라는 프로그래밍 언어로 실행되고
그러면 플러그인 역시 JAVA 라는 프로그래밍 언어로 만들어야 한다는 것을 추측할 수 있습니다.
Eclipse 는 이런 JAVA 라는 프로그래밍 언어를 사용해 프로그램 즉, 플러그인을 개발할 수 있는 도구라고 이해할 수 있습니다.
쉽게 설명하면 Eclipse 는 도화지 입니다.
JAVA 는 크레파스 입니다.
도화지 위에 크레파스로 그림을 그려 작품을 완성시킵니다.
이 작품이 플러그인이 됩니다.
제작한 작품은 전시회에 출품 될 것입니다.
이 전시회가 서버가 되고
전시회를 보러 온 유저는 이 작품에 영향을 받게 되는 구조인 것입니다.
Eclipse Downloads | The Eclipse Foundation
Eclipse Downloads | The Eclipse Foundation
The Eclipse Foundation - home to a global community, the Eclipse IDE, Jakarta EE and over 415 open source projects, including runtimes, tools and frameworks.
www.eclipse.org
구글에 Eclipse 를 검색하면 최상단에 Eclipse Downloads 라는 사이트가 노출됩니다.
해당 사이트에 진입해 Download x86_64 를 클릭해 다운로드를 진행합니다.
설치된 파일을 실행하면 다음과 같은 창이 등장하게 됩니다.
우리는 플러그인을 JAVA 를 통해 개발할 것이기에 Eclipse IDE for Java Developers 를 클릭해 설치를 진행합니다.
설치를 하게 되면 Java 21+ VM 에 우리가 1편에서 설치했던 Java의 JDK 폴더가 선택되고
Installation Folder 는 eclipse 하위에 java-2024-06 이 설치됩니다.
이 JDK 나 설치 경로는 설치한 JDK 의 버전이나 설치하는 Eclipse 의 버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.
설치된 Eclipse 를 실행하려 하면 이렇게 workspace 를 정할 수 있고 Launch 를 통해 실행할 수 있습니다.
하나의 workspace 에서 개발을 지속하면 Eclipse 가 느려질 수 있다고 합니다.
상황에 따라 폴더를 변경해가며 개발하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.
그러면 성공적으로 Eclipse 가 설치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마인크래프트 플러그인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JAVA 라는 프로그래밍 언어에 대해 알아가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.
다음 회차 부터는 JAVA 로 플러그인을 직접 개발해가며 서버에 적용시켜보도록 하겠습니다.
플러그인 개발 부터는 OS X 운영체제로 개발을 진행할 예정입니다.
위의 설치까지가 윈도우 운영체제와 OS X 운영체제가 차이가 나는 부분이고
실제 플러그인 개발은 운영체제에 따라 달라지지 않습니다.
'마인크래프트' 카테고리의 다른 글
6. 마인크래프트 플러그인 개발 - Listener 활용 (0) | 2024.08.16 |
---|---|
5. 마인크래프트 플러그인 개발 - Listener (0) | 2024.08.15 |
4. 마인크래프트 플러그인 개발 - 기초 플러그인 개발 (0) | 2024.08.15 |
2. 마인크래프트 플러그인 개발 - 플러그인이란 ? (0) | 2024.08.13 |
1. 마인크래프트 플러그인 개발 - 멀티 플레이 서버 구축 (0) | 2024.08.13 |